탄수화물 섭취, 백미 현미 둘 중 어떤게 더 좋을까?
안녕하세요 합리적으로 운동하자의 합리적 헬스입니다. 한국인이 살면서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은 쌀밥입니다. 어떤 맛있는 음식이든 항상 쌀밥과 함께 우리의 식탁에 올라오죠 그러면 이러한 쌀밥을 운동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어떻게 섭취하면 좋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운동하는 사람 입장에서 백미와 현미 둘 중 어떤 것이 더 좋은 탄수화물인지 과학적인 근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혈당 지수(GI 지수)
2. 백미와 현미
3. 마무리
1. 혈당 지수(GI 지수)
설명에 앞서 혈당 지수(GI지수)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각 음식들의 혈당 수치들을 0~100까지의 숫자로 나타낸 지수입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혈당이 더 빠르게 오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GI 지수가 높은 음식일수록 체내 혈당이 올라가는 속도가 빨라지고 급격한 혈당 증가를 막기 위해 인슐린이라는 물질을 분비하여 우리 몸의 세포가 당(포도당)을 흡수하는 상태로 만듭니다. 이때 흡수된 포도당은 글리코겐의 형태로 세포 내에 저장되는데 글리코겐으로 간, 근육과 같은 주요 세포가 저장할 수 있는 최대치를 넘어가게 되면 남은 포도당은 지방의 형태로 전환됩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생각해 보면 같은 양의 탄수화물을 먹었을 때 GI 지수가 높은 음식일수록 대체로 지방이 더 많이 축적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2. 백미와 현미
그러면 백미 현미 중 GI 지수가 낮은 음식을 선택하면 되겠죠?
알려진 정보에 따르면 백미의 경우 GI지수가 92, 현미의 경우 GI 지수가 55로 현미가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이어트 혹은 클린 한 벌크업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백미 대신에 현미를 주식으로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현미의 경우 백미에 비해 미정제된 부분이 존재하고 이 부분에는 소화에 도움이 되는 식이섬유 그리고 비타민B, 마그네슘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어 건강적인 측면에서도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특히 현미의 경우 다량의 섬유질로 인해 포만감 또한 오래 지속되어 다이어트를 진행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3. 마무리
백미와 현미 둘 중에 현미가 건강에 더 좋다는 것을 여러분들도 어렴풋이 알고 계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왜 현미가 백미보다 영양적으로 더 좋은지 그리고 다이어트와 벌크업 측면에서 왜 유용한 것인지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 이번 글에서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백미와 현미만을 두고 다루었으나 GI지수라는 개념을 잘 활용하신다면 다른 음식을 선택하실 때에도 충분한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글이 여러분의 합리적인 운동에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글에서 또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